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정보

아보카도 보관법 숙성해서 맛있게

by ★☆★☆☆ 2021. 3. 5.

아보카도 보관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야기드릴 과일은 다이어트 식품이면서 건강식품으로 유명한 아보카도입니다.

 

예전에는 아보카도가 구하기가 어려워서 먹기 힘들었지만 최근에는 시중에 구하기가 쉬워지면서 샐러드를 해먹거나 일반 과일처럼 생으로 드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런 아보카도의 보관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보카도는 어떤 과일?

아보카도의 원산지는 멕시코 입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로 알려져 있으며, 샐러드나 요리의 장식 등으로 많이 이용 됩니다.

특히 피부건강에도 좋을 뿐만아니라 풍부한 칼륨함량 덕에 나트륨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애용됩니다.

 

또한 혈행개선에도 도움을 주어서 심혈관계 질환 환자에게도 매우 좋은 식품입니다.

아보카도 고르는 법

아보카도는 후숙을 해서 먹는 과일이기 때문에 보관도 매우 중요하지만, 고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내가 먹고 싶은 시기에 최적으로 숙성을 시켜야 되기 때문이지요.

 

숙성이 안된 아보카도의 경우는 취향에 따라 호불호는 있겠지만 딱딱하고 맛이 없는 편이기 때문에 잘 골라주어야합니다.

 

아보카도는 익지 않았을 때 초록색 빛깔을 띕니다.

 

거기서 숙성 될수록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요, 색깔별 아보카도의 상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초록색의 아보카도

일주일 이상 후숙을 해야 맛있게 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매를 추천하지는 않으나 당장 먹을게 아닌 분들은 구매하셔서 후숙을 시키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2) 갈색의 아보카도

숙성된 아보카도로써 바로 먹어도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오늘 당장 먹겠다 하시는 분들은 갈색 아보카도를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3) 갈색과 초록색의 중간단계에 있는 아보카도

숙성의 단계를 거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서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추천하는 방법은 약간 갈색으로 변한 아보카도를 만졌을 때 적당한 탄력성이 느껴지는 것을 고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보카도 보관법

일반적으로 아보카도는 실온에 보관하여 후숙시켜서 드시면 됩니다.

 

실온 보관

하지만 실온에 보관시는 금방 물러져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당장 드실게 아니라면 신문지나 호일로 하나씩 감싸서 보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보관하면 길게는 1~2주 까지 보관이 가능합니다.

 

숙성이 된 아보카도 보관

숙성이 된 아보카도를 보관하실 경우는 역시나 신문지나 호일등으로 밀봉하여 주신 후에 완전히 밀폐를 시켜서 냉장 보관을 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또한 더 장기간의 보관이 필요할 경우는 냉동보관을 할 수 있는데요.

 

냉동 보관의 경우는 아보카도를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아보카도의 껍질을 제거한 후 씨를 제거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잘라서 밀폐용기에 보관해주는 방법입니다.

 

이상

 

맛도 좋고 몸에는 더 좋은 과일인 아보카도의 보관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명절에는 아보카드가 포함된 선물세트를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추천글

2021/02/16 - [생활건강정보] - 천혜향 레드향 차이

 

천혜향 레드향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깥에 바람이 많이 불다보니 따뜻한 이불 밑에서 간식이나 먹고 싶은 날입니다. 이런 간식중에서도 제가 제일 좋아하는 간식이 귤이다보니 귤에 관련된 글을 자꾸 쓰게 되

bara1.tistory.com

2021/02/16 - [생활건강정보] - JMT 한라봉 보관법

 

JMT 한라봉 보관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귤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한라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처음에 한라봉의 특이한 생김새에 약간 거부감이 들었었는데요. 먹어보니 완전 존맛탱이라 지금은 없어서

bara1.tistory.com

2021/02/05 - [생활건강정보] - 귤 보관법 오래도록 맛있게

 

귤 보관법 오래도록 맛있게

안녕하세요 겨울철 최고의 간식으로 꼽을수있는 것중 하나가 바로 귤입니다. 최근에는 추위와 함께 코로나로 외출이 어려워지면서 집으로 귤을 배달시켜서 먹는 분들이 더욱 늘어났을 것 같네

bara1.tistory.com

 

댓글